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스프링부트 공부 일지 3

빈 스코프 스프링 빈은 기본적으로 시글톤 스코프로 생성된다. 스코프는 말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싱글톤: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 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프로토 타입: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 웹 관련 스코프 request: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session: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application: 웹의 서블릿 컨텍스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프로토타입 스코프 싱글톤 스코프의 빈을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

Spring(스프링)/스프링 공부 메모장 2023. 6. 14. 22:01
스프링부트 공부 일지 2

스프링 컨테이너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Bean이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스프링 빈은 @Bean 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applicationContext.getBean()으로 찾을수있다) 스프링 빈 조회 - 상속관계 부모 타입으로 조회하면, 자식 타입도 함께 조회한다. 그래서 모든 자바 객체의 최고 부모인 Object 타입으로 조회하면, 모든 스프링 빈을 조회한다. 1번 : 1,2,3,4,5,6,7 2번 : ..

Spring(스프링)/스프링 공부 메모장 2023. 6. 2. 11:31
스프링부트 공부 일지 1 ( 스프링, 다형성, SOLID, IoC, DI, DI컨테이너)

스프링 프레임 워크 - 핵심 기술 : 스프링 DI 컨테이너, AOP, 이벤트, 기타 - 웹 기술 : 스프링 MVC, 스프링 WebFlux - 데이터 접근 기술 : 트랜잭션, JDBC, ORM 지원, XML 지원 - 기술 통합 : 캐시, 이메일, 원격접근, 스케줄링 - 테스트 :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 - 언어 : 코틀린, 그루비 -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를 통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 스프링 부트 -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생성 - Tomcat 같은 웹 서버를 내장해서 별도의 웹 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됨 -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종속성 제공 - 스프링과 3rd parth(외부) 라이브러리 자동 구성 - 메트릭, 상태 확인, 외부 구성 같..

Spring(스프링)/스프링 공부 메모장 2023. 5. 28. 14:55
[Spring] @RequestBody, @ResponseBody 란?

스프링에서 비동기 처리를 하는 경우 @RequestBody, @ResponseBody를 사용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통신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 메시지라고 하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통신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 메시지라고 한다. 비동기통신을 하기위해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 메세지를 보낼 때, 본문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야 하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을 보낼때에도 본문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야 한다. 이 본문이 바로 body 이다. 즉, 요청본문 requestBody, 응답본문 responseBody 을 담아서 보내야 한다. 이때 본문에 담기는 데이터 형식은 여러가지 형태가 있겠지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JSON 이다. @RequestBody 이 어노테이션..

Spring(스프링) 2023. 5. 16. 11:09
SHA-256 해시 알고리즘

SHA-256이란? SHA-256은 메시지, 파일, 혹은 데이터 무결성 검증에 널리 사용되는 암호화 해싱 알고리즘(함수)입니다. SHA-256은 넓게는 SHA-2 패밀리에 속하고 변환하기를 원하는 문자들을 256 bit 길이의 key로 변환합니다. SHA-256을 사용하면 문자가 조금만 바뀌어도 해시값이 완전히 변합니다. SHA-256 과정 SHA-256은 대략적으로 (1) 전처리 (2) 해시 계산의 과정을 따릅니다. 1. 먼저 변환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바이너리 형태로 변환합니다. 2. 바이너리 데이터는 512비트의 블락들로 나뉩니다. 만약 블락이 512보다 크다면 512비트에서 자릅니다. 3. 앞서 512비트로 나눈 블락들을 다시 32비트로 자릅니다. 4. 압축 함수를 64회 반복수행합니다. 5. 각 ..

Spring(스프링) 2023. 5. 7. 18:09
Spring DAO란? DTO란? VO란? DTO와 Entity를 분리하는 이유

DAO(Database Access Object) - 즉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객체이다, 단일 데이터의 접근 및 갱신의 개념이다. DTO(Data Transfer Object) - DataBase에서 Data를 얻어 Service나 Controller 등으로 보낼 때 사용하는 객체. VO(Value Object) - 각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자바 객체를 의미한다. 레이어 간에 전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객체의 속성과 getter, setter만을 가지고 있다. -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자바 빈즈 - VO는 특정한 비즈니스 값을 담는 객체이고 , DTO는 Layer간의 통신 용도로 오고가는 객체를 말함. DTO와 Entity를 분리하는 이유 - View Layer와 DB Layer의 역할..

Spring(스프링) 2023. 5. 3. 20:43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